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

MacPorts 설치

Mac OS X Lion 설치 후 macport 재설치중 ... 에 출근 ...

1. path 수정

$ sudo vim /etc/paths 파일에 /opt/local/bin 라인 추가 후 리부팅 (또는 재 로그인)

2. mac port 새버전 설치 (잘 안 쓰는 거지만 sudo 보다는 root 가 편해서 그냥 이렇게 한다. 이건 알아서...)
$ sudo su -
# mkdir /opt/mports
# cd /opt/mports
# svn checkout http://svn.macports.org/repository/macports/trunk
# cd /opt/mports/trunk/base
# ./configure --enable-readline
# make
# sudo make install
# make distclean
# port install subversion +unicode_path
# port selfupdate
# port upgrade outdated

3. 사양과 뭘 설치했었는지 (또는 신규 설치인지) 에 따라서 몇십분에서 몇시간 기다리면 됨.

출근하느라 그냥 맥북 뚜껑 덮고 와서 ... 퇴근 후에 다시 중단 됐던 곳부터 계속 가겠지 ..

댓글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bitnami Redmine 백업 및 복원

1. Bitnami 매니저 툴에서 phpMyAdmin으로 접속해서 해당(bitnami_redmine) 데이터베이스를 내보내기합니다(MySQL dump로 자동화 해도 됩니다). 2. \apps\redmine\htdocs\files 폴더에 있는 파일을 압축하여 별도 보관합니다. ** 아래는 참조 내용입니다. 원본 웹사이트 주소 : http://redkim14.blogspot.kr/2016/05/redmine.html Redmine - 레드마인 데이터 백업 및 복원 * Bitnami Redmine 2.6.x 버전을 기준으로 합니다. * 백업  - 레드마인 설치 폴더로 이동  - apps/redmine/htdocs/config/database.yml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 database,    username, password 내용을 확인 합니다.  - 레드마인 설치 루트 폴더에서 use_redmine.bat 실행합니다.  - 커맨드 창에서 mysqldump -u [username] -p [database] > redmine_backup.sql을    입력하고 엔터를 치고 password를 입력합니다.  - redmine_backup.sql 파일로 데이터 베이스가 백업됩니다.  - \apps\redmine\htdocs\files 폴더에 있는 파일을 압축하여 별도 보관합니다. * 복원  - 레드마인 설치 후 설치 폴더로 이동 합니다.  - 데이터 베이스 백업 파일을 레드마인 루트 폴더에 복사합니다.  - \apps\redmine\htdocs\files 폴더에 별도 압축한 파일을 풀어 복사합니다.  - apps/redmine/htdocs/config/database.yml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 database,    username, password 내용을 확인 합니다. ...

Direct3D11 - Intrinsic Functions 내장 함수

Intrinsic Functions 내장 함수 다음은 HLSL이 기본 제공하는 함수들과 관련 설명들입니다. 우선 HLSL 5.0(D3D11)에서 추가된 함수들입니다. 이 함수들에 대한 자료는 아직 매우 빈약한 편이어서 차츰 업데이트하는 방식을 택하겠습니다. 또, 새로 도입이 되긴 했지만 Vetex/Pixel/Geometry shader 어디에서도 아직 사용할 수 없는 함수들도 있습니다. 이런 함수들 역시 사용가능하게 되고 참고할 수 있을 때 업데이트하는 방식을 취할까 합니다. 1. AllMemoryBarrier()     모든 메모리 Access가 끝날 때까지그룹 내의 모든 쓰레드들의 실행을 막는다. 2. AllMemoryBarrierWithGroupSync()     모든 메모리 Access가 끝나고 모든 쓰레드들이 이 함수 지점까지 도달할    때까지그룹 내의 모든 쓰레드들의 실행을 막는다. 3. DeviceMemoryBarrier()    모든 디바이스 메모리 Access가 끝날 때까지그룹 내의 모든 쓰레드들의 실행을 막는다. 4. DeviceMemoryBarrierWithGroupSync()    모든 디바이스 메모리 Access가 끝나고 모든 쓰레드들이 이 함수 지점까지 도달할    때까지그룹 내의 모든 쓰레드들의 실행을 막는다. 5. GroupMemoryBarrier    그룹 메모리 Access가 끝날 때까지그룹 내의 모든 쓰레드들의 실행을 막는다. 6. GroupMemoryBarrierWithGroupSync     모든 그룹 메모리 Access가 끝나고 모든 쓰레드들이 이 함수 지점까지 도달할    때까지그룹 내의 모든 쓰레드들의 실행을 막는다. 7. dst:   두 벡터 간의 거리(distance)를 구한...

WebRTC Janus Gateway Media Server 사용기

이번 프로젝트에 WebRTC Media Server가 필요해서 조사를 진행했다. 조사한 Media Server는 아래와 같다. 1. jitsi meet : https://jitsi.org/jitsi-meet/ 2. janus gateway : https://janus.conf.meetecho.com/ 3. kurento : https://www.kurento.org/ 4. mediasoup : https://mediasoup.org/ 5. medooze : http://www.medooze.com/ 이중에 여러 플랫폼 라이브러리가 필요해서 janus gateway 를 선택하게 되었다.